2020_싱가포르 적응기

싱가포르에서 계좌개설하기,dbs은행

열심쟁이 2020. 10. 26. 18:33

드디어 싱가포르 계좌를 개설했다!!

비대면, 온라인으로 신청한 dbs계좌이다.

지인이 집근처 hsbc에 계좌 개설하러 갔을 때
나는 비자가 아직 안 나와 참고삼아 따라 갔었다.
싱가포르는 디파짓금액이 있는데 은행마다 다르다.
hsbc은행은 3000불(싱달라) 였고 그 이하이면 5불인가 10불 매달 수수료로 그냥 나간다.

한데 내가 신청한 이 dbs계좌는 기본 디파짓 금액이이 없다. 여기는 otp카드가 아니고 토큰이라 불리는데, 크기는 우리나라꺼 두 배? 한데 dbs는 디지트 토큰(digit token)이라고 해서 문자나 이메일로 보안6자리 문자가 온다.


dbs홈페이지나 어플에서 계좌개설을 하면 되는데,
필요한 것은
ㆍ여권번호/카피본업로드
ㆍ거주 주소
ㆍ살고 있는 곳 확인가능한 서류? 나는 내 이름으로 오는 SP(싱가포르 수도ㆍ전기요금 명세서) 청구서를 첨부(업로드했다)

그리고 일주일 기다리면 카드가 온다.(정확히는 5영업일)

그런데 카드만 왔다.ㅡ.,ㅡ

카드 활성화시키고(문자전송으로 가능),
「get started」로 들어가서 카드등록하고 내계좌 확인 하려니 pin번호를 몰라서 당황했다.

그리고 발견‥핀번호 오는 중이래‥
그리고 여긴 걸핏하면 5영업일이 기준이기에 기다리고 있었는데‥지난번 데비카드(=체크카드)우편물에 핀번호가 담긴 우편물이 함께 있었다. 내가 일주일 지나 우편함을 열어 시간차가 있었는지 함께 왔는지는 모르겠다.

여기 dbs은행으로 부터 온 것이라는 표식은 없다.
내 이름으로 올 것은 SP요금 뿐일텐데, 머지???

우하하하‥버릴뻔했다‥ㅜㅡ
내 이름만 아니었으면‥

무튼 우열곡절 끝에 나온 싱가포르 dbs계좌.

나는 보통 시티은행의 글로벌체크카드를 쓴다.
계좌간 환전을 해서 사용하기에 큰 불편은 없다.
SP요금도 한국에서 만든 카드로 어플에서 결제한다.

한데
한국 음식을 주문할때 사용 하는 페이나우,
가끔 개인간 계좌거래시,
지로를 사용할때‥
가끔 바로 계좌이체되는 싱가포르내 계좌가 필요할 때가 있다. 결정적으로 캐쉬 뽑을때 수수료도 절약되고, 타은행계좌이체 수수료도 싱가포르는 없다.

트렌스퍼와이즈라는 핀테크계좌도 개설했으나
한국계좌로는 충전이 안되어 카드로 충전하다보니
수수료가 너무 비싸다. 그리고 송금시에도 수수료가 나가니 내 경우는 비추‥ㅡㅡ

이제 한국-dbs로 송금해봐야겠다!



#싱가포르에서계좌개설하기
#싱가포르DBS계좌개설
#싱가포르온라인계좌개설